728x90
반응형
SMALL

tcp 4

[네트워크] 브로드캐스팅

목차 1.브로드캐스팅 2. 브로드캐스팅 데이터 보내기 위한 절차 브로드캐스팅 통신모델 유니캐스팅 (unicasting) : 한 개체가 다른 한 개체에 데이터를 보내는 모델 브로드캐스팅 (broadcasting) : 한 개체가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개체에 데이 터를 보내는 모델 멀티캐스팅 (multicasting) : 동일 그룹에 가입한 모든 개체에 데이터를 보내는 모델 (개념적으로 브로드캐스팅은 멀티캐스팅의 특수한 경우 이다) 애니캐스팅 (anycasting) : 한 개체가 동일 그룹에 가입한 개체 중 가장 가까운 하나 에만 데이터를 보내면, 데이터를 받은 개체가 그룹에 속 한 나머지 개체에 데이터를 보내는 모델 브로드캐스팅 (broadcasting) 브로드캐스팅, 멀티캐스팅은 엄밀하게는 IP가 제..

코딩/Network 2023.06.06

[네트워크] 멀티스레드 TCP서버/스레드 동기화/임계영역/이벤트

목차 1. 멀티스레드 TCP 서버 2. 스레드 동기화 3. 임계영역 4. 이벤트 멀티스레드 TCP 서버 기본형태 1.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면 accept() : accept()는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소켓을 리턴 2.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스레드 생성 CreateThread() : 이때 클라이언트와 통신할 소켓을 스레드에 인자로 넘겨줘야함 3. 스레드 함수는 인자로 전달된 소켓을 SOCKET 타입으로 저장 4. getpeername() 함수를 호출하여 클라이언트 주소 정보 획득 5. 클라이언트와 데이터 통신 #include "../../common.h" #include #define SERVERPORT 9000 #define BUFSIZE 512 //thread DWORD WINAPI ProcessClient..

코딩/Network 2023.06.05

[네트워크] 데이터 전송 원리, 패킷, IP주소, 도메인

데이터 전송 원리 패킷이란? 제어정보 + 데이터 ▶각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제어 정보(IP주소, 포트번호, 오류체크 코드 등) + 데이터 ▶제어 정보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 붙는 헤더와 뒤쪽에 붙는 트레일러로 구분 패킷 전송 형태 ▶계층별 각 계층은 동일 위치의 상대 계층과 통신하는 것으로 간주 인터넷 - 응용 계층, 전송 계층 하부 계층이 제공하는 가상적인 연결을 사용해 동작 - 인터넷 계층 IP 주소와 라우팅 기능을 이용해 패킷 전송 경로 결정 - 네트워크 접근 계층 물리 주소를 사용해 실제 패킷 전송 * 물리주소는 패킷이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다음 지점의 물리주소로 계속 변경됨 IP 주소, 포트 번호 TCP/IP 프로토콜로 통신할 때는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사용함 IP 주소 ▶인터넷에 있는 호스트와 ..

코딩/Network 2023.04.13

[네트워크] TCP/IP 프로토콜 구조

TCP/IP 프로토콜 구조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개체 : 호스트, 라우터 호스트 host 최종 사용자(end-user)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주체 ex) pc, 노트북, 스마트폰 등 라우터 router 호스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여러 네트워크를 거쳐 전송함으로써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장비 통신 프로토콜 호스트-라우터, 라우터-라우터, 호스트-호스트가 통신하려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따라야함, 이를 통신 프로트콜이라 부름 TCP/IP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핵심 프로토콜은 TCP/IP를 비롯한 각종 프로토콜을 총칭하여 TCP/IP 프로토콜이라고 부름 운영체제의 일부로 구현됨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TCP/IP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사용해 통신..

코딩/Network 2023.04.12
728x90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