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전송 원리
패킷이란?
제어정보 + 데이터
▶각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제어 정보(IP주소, 포트번호, 오류체크 코드 등) + 데이터
▶제어 정보의 위치에 따라 앞쪽에 붙는 헤더와 뒤쪽에 붙는 트레일러로 구분
패킷 전송 형태
▶계층별
각 계층은 동일 위치의 상대 계층과 통신하는 것으로 간주
인터넷
- 응용 계층, 전송 계층
하부 계층이 제공하는 가상적인 연결을 사용해 동작
- 인터넷 계층
IP 주소와 라우팅 기능을 이용해 패킷 전송 경로 결정
- 네트워크 접근 계층
물리 주소를 사용해 실제 패킷 전송
* 물리주소는 패킷이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다음 지점의 물리주소로 계속 변경됨
IP 주소, 포트 번호
TCP/IP 프로토콜로 통신할 때는 IP주소와 포트번호를 사용함
IP 주소
▶인터넷에 있는 호스트와 라우터의 식별자
▶전 세계적으로 값이 유일함
▶IPv4 : 32비트
ex) 147.46.114.70
▶IPv6 : 128비트
ex) 2001:0230:abcd:ffab:0023:eb00:ffff:1111
포트 번호
▶인터넷 통신의 종착점을 나타내는 식별자
IP주소는 인터넷에 있는 호스트를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지만, 통신의 최종 주체인 프로세스는 식별하지 못함 → 프로세스 식별자로 포트 번호를 사용
▶TCP, UDP는 포트 번호로 부호 없는 16비트 정수를 사용 ( 0~65535 범위)
알려진 포트 well-knwon port
▶용도가 정해져 있어서 함부로 사용x
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
▶일반적으로 이 포트를 사용함
도메인
▶IP 주소에 대한 별명
▶DNS (domain name system)을 사용하여 IP와 도메인을 매칭
▶실제 통신할 때는 IP 주소로 변환
'코딩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윈속 초기화와 종료 (0) | 2023.04.14 |
---|---|
[네트워크] 윈도우 소켓 오류 처리 (0) | 2023.04.14 |
[네트워크] 윈도우 소켓 (윈속) (0) | 2023.04.13 |
[네트워크] 클라이언트-서버 (Client-Server) 모델 (0) | 2023.04.13 |
[네트워크] TCP/IP 프로토콜 구조 (0) | 2023.04.12 |